양조용 아이스

Standard Post with Image

164. 리스링 (Riesling)

가. 품종 내력
육종 내력: 독일 라인강(Rhine River) 지역 원산의 2배체 구주종
참고 내용: 라인 리슬링(Rhine Riesling), 요하니스베르크 리슬링(Johanisberg Riesling)로도 불림
나. 과실 특성
과립 형태: 원형의 황녹색 과피, 1.7g의 크기
과방 중량: 110g의 원추형
식미: 당도 20~25°Bx, 산미 0.6-0.8%
다. 품종 숙기
해외 숙기: 독일 원산지(라인강 지역) 기준 9월 중순-10 상순
국내 숙기: 9월 중순-9월 하순
라. 재배 특성
리스링은 서늘한 기후에서 적응력이 뛰어납니다. 늦서리에 강한편으로 이듬해까지 나무에서 유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흰가루병 방제에 주의가 필요하며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시 산이 빠지는 단점이 있는 품종입니다.
마. 양조 특성
리슬링은 아이스 와인으로 양조시 겨울철에 자연적으로 얼린 포도를 사용하여 만듭니다. -7°C 이하에서 동결된 후 수확되어, 얼음을 제거한 후 압착하여 농축된 주스를 얻습니다. 이 주스는 저온에서 서서히 발효되어 높은 당도와 상큼한 산도를 유지하며, 과일 향과 꽃 향기가 특징입니다. 리슬링 아이스 와인은 매우 달콤하면서도 산미가 있어 균형 잡힌 맛을 제공하며, 숙성 후 더 깊은 풍미를 발산합니다.

Standard Post with Image

165. 비달블랑 (Vidal Blanc)

가. 품종 내력
육종 내력: 프랑스의 육종가 장 루이 비달(Jean Louis Vidal) 교배 육성한 2배체 구미잡종
교배 조합: 트레비아노 토스카노(Trebbiano Toscano) x 레이온 도르(Rayon D'or)
나. 과실 특성
과립 형태: 원형의 황녹색 과피, 1.5g의 크기
과방 중량: 100g의 원추형
식미: 당도 18-22°Bx, 산미 0.6-0.8%
다. 품종 숙기
해외 숙기: 프랑스 육성지 기준 9월 중순-10월 상순
국내 숙기: 9월 하순-10월 상순
라. 재배 특성
비달블랑은 서늘한 기후에서 적응성이 뛰어납니다. 늦서리에 강하며 이듬해까지 나무에서 유지가 가능합다.
마. 양조 특성
비달 블랑은 아이스와인으로 양조시 겨울철에 자연적으로 얼린 포도를 수확하여 고농축된 당분을 가진 주스를 압착한 후, 저온에서 서서히 발효하여 양조됩니다. 이 와인은 매우 달콤하면서도 적당한 산도를 유지하여 균형 잡힌 맛을 제공합니다. 풍부한 과일 향과 상큼한 맛이 강조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더 깊고 복합적인 풍미를 발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