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주종. Gousal Kara × Neo Muscat교배육성. 1989년 일본 하나자와씨가 품종등록. KattaKourgan의 대체 품종. 상표명은 모모타로(桃太郞) 포도.
과립 14~16g의 편원통난형의 거대립. 최대 20g。과방1~3kg 장원추형 거대방. 과색 황록색. 당도 18~19Bx. 과육은 붕괴성. 과즙은 중. 화진 조금 있으나, 개화 직후 3일 째 15~25ppm, 10일 후 15ppm 처리면 껍질째 먹을 수 있는 포도로 유명. 향 없고, 산도 낮아 먹기 좋은 품종.
수세는 왕성, 내병성은 조금 약함. 성숙 후에 얼룩 반점을 주의.
9월 상 중순의 중만생종
구주종. 일본 시마네 과수시험장에서 Alexandria × Rixamat 교배육성. 2004년 선발.
과과립 8~12ℊ 단타원형. 과방 400~500ℊ 원통형. 과색(果色) 황록색. 당도 20Bx. 육질은 붕괴성. 향기 없고, 당도는 알렉산드리아보다 2Bx 더 높고 산도 낮아 고급 종. 미숙과는 씨가 떫은맛이 조금 있다.
수세 강. 풍산성. 화진 적고 확장력 좋다. 비교적 재배 용이. 직판이나 관광농원에 적합. 껍질째 먹을 수 있는 고급 종이다.
육성지에서 머스켓 오브 알렉산드리아보다 8일 정도 빠르다.
구주종. 중국의 貝甲干 × Rosario Bianco 교배육성. 일본 야마나시 현 시무라(志村)포도연구소 시무라씨가 육성.
과립 장타원형 평균 25g~30g GA 처리 무핵 시 40g 이상의 세계 최초 초대립 기적의 포도. 과색 황록색. 당도 20Bx 전후. 과육 붕괴성으로 아삭아삭함. 만개시나 3일 후 25ppm, 만개 10일 ~ 15일후 25ppm GA 처리면 무핵이 된다. 과피 얇아 껍질째 먹을 수 있는 품종.
수세가 왕성하여 수관 확장력이 좋아 웃자람에 주의해야 한다. 열과에 주의.
일본 야마나시에서 9월 상중순의 중생종
구주종. 미국 뉴욕 농업시험장에서 Ontario × Thomson Seedless 교배육성. 1952년 품종등록.
과립 3g, 난형. 과방 300g, 원추형. 과피 녹황색. 당도는 16 Bx. 산미 0.4%, 육질 연하고, 과피 얇다. 과경이 연약 탈립이 심하다. 만개 10일 후 GA 100ppm 처리하면 방지된다.
수세 강. 내병성은 중. 내한성 강. 중부 지방 노지 월동 가능. 단초전정 결실불량. 장초전정이 무난.
수원 지방 7월 하순의 극조생종
구주종. 미농무성 작물연구소 USDA-ARS의 David Ramming씨와 Ronald Tarailo씨가 Crimson Seedless × B40-208 교배육종. 1999년 등록. 일명 Melissa. 중국명 밀려사무핵(密麗沙無核)
과립 5g~6g 타원형. 과방 500g 원추형. 적당히 밀착. 과색 녹황색. 무핵품종. 과육 분리 어렵다. 육질 연하고 단단함. 당도는 18Bx. 시원한 머스켓 향. 산도 적당하여 식미가 좋고 품질 우수하다. 열과 없고, 저장, 수송 강하다.
수세는 극강. 내병성은 거봉 정도. 환상박피를 하면 과립 비대 및 착과 촉진 가능. 중 단초 혼합 전정이 좋고. 특히 신초 갱신 전정에서 착과율이 좋다.
발아에서 성숙까지 120일의 중숙 품종.
구주종. 슐타니아(Sutania)로 터키 원산의 자생종. 이슬람의 왕비라는 뜻. 미국 California 대학에서 수입. 톰슨씨들리스(Thomson Seedless)라 명명.
과립 평균 3~5g의 타원형. 과방 300~1,000g. 과색 녹황색. 당도 20Bx. 과피 연하고, 육질 아삭. 건포도용의 주품종. 미국 건포도의 93%, 생식용, 주스(Juice)용으로 인기.
수세는 강. 내병성 중.
캘리포니아(Califonla)에서 7월말 - 8월초의 비교적 조생종.
구주종. 미국 California Davis 대학에서 H.P Olmo씨가 1980년 품종 등록. Gold × Perlette 교배종. 중국명 여명무핵(黎明無核)
과과립 5g~6g 원형 밀착. 과방 450g 원추형. 과색 녹황색. 무핵품종. 과분 적으며 육질 단단함. 당도는 18Bx. 산도 적당하여 식미가 좋고, 과피 분리 어렵다. 열과 없고, 저장, 수송 강하다.
수세는 강. 가지는 굵고 튼튼하며 가을에 쉽게 등숙. 내병성은 거봉 정도. 내한성도 강. 중단초 혼합 전정이 좋다
발아에서 성숙까지 110일의 조숙 품종.
구주종. 일본 식원포도에서 로자끼(Roxaki) × 머스켓 오브 알렉산드리아(Muscat of Alexandria) 교배육성. 1976년 선발.
과립 8~14g 타원형. 과방 400~600g 원추형. 과색 황록색. 당도20~21Bx. 산도 낮음. 머스켓 향, 불열과, 불탈립, 풍산성, 고품질로 대인기
수세 강. 내병성 강. 노지재배의 대중적 머스켓 품종. 맹아가 늦고 신초가 고르게 발아하지 않고 내한성이 약한 것이 결점. 하우스에서 재배 늘고 있음.
9월 중순의 중생종. 거봉보다 2주 정도 늦다.
구주종. 이태리의 유명한 육종가 베르만(Berman)씨가 비카네(Bycane) × 머스켓함부르그(Muscat Hamburg) 교배육성. 이태리 (Italia) 국명을 붙일 정도로 유명한 품종.
과립 18~20g 타원형. 과방 원추형 심대방. 과색 백황색 당도 18Bx 높고. 산도 낮고 머스켓 향. 외관이 볼륨 있는 품질 우수한 품종임.
수세 강. 내병성 강. 노지재배 가능.
9월 하순의 만숙종
구주종. 아프리카 원산. 기원전부터 재배된 저명한 품종.
과립 8g~16g 도란형. 원추형 심대과방. 과색 황록색. 당도 20Bx 높고. 산도 낮고.머스켓 향. 외관이 볼륨 있는 품질 우수한 품종임.
수세 강. 내병성 강. 아열대 품종임으로 고온을 요하여 추운 지방에서 노지 재배는 곤란하지만 직판용으로 인기 만점이다.
9월 하순 ~ 10월 상순의 최고 만숙종
구주종. 루마니아에서 Cadinal × Regina(Aluz Ali) 교배 육성된 유럽에서 대단한 인기 품종.
과립 9.5g~15g, 장원추형. 과방 630g, 원추형. 어깨송이가 있고. 과피는 녹황색. 과즙은 적으며, 탈립 없다. 당도는 16Bx. 산도는 0.37%. 맛좋은 품종.
수세 강. 내병성은 중.
이태리 남부에서 8월에 수확하는 비교적 조생.
구주종. 러시아 원산. 러시아명 후사이네. 러시아, 중국의 중요 품종. 신강에서는 마내자라고 함. 소 젖꼭지를 닮아 이름 붙여진 저명한 품종.
과립 평균 7~9ℊ. 과방 400~600ℊ. 과립 타원형 심대립. 과방 원추형 심과방. 과색 백황색. 당도 18Bx 좌우. 산도 낮아 상품 우수. 다우나 과습 시 다소 열과.
수세는 강. 내병성은 거봉 정도임.
발아에서 성숙까지 150일의 만숙 품종.
구주종. 일본 식원포도(植原葡萄)의 우에하라씨가 1989년 Black Swan × Pizzutello Bianco 교배육성. 1977년 등록
과립 5g~7g의 선첨흉옥형 소립. 과방 300g~400g의 원추형 소방. 과색 녹황색. 당도 17Bx~20Bx. 향 없고 산이 낮아 먹기 좋다. 과육은 연하고 다즙이며 과피가 두꺼우나 먹기 쉽다.
수세는 왕성하여 도장형이다. 내병성 약하여 주의. 재배 쉬운 품종
9월 상 중순의 중생종
구주종. 시리아 원산. 세계 3,000여 품종 중 최대방. 성서에 두 사람이 봉에 끼워 매고 가는 포도. 1송이 10kg이란 기록이 전해짐.
과립 2.8~3.5g 난원형. 과방 1.8kg 원추형. 과색 녹황색. 당도 20Bx. 과피 연하고, 육질 치밀. 향은 적으나, 화진 없고, 탈립 없다
수세는 중이고 아주 강건함. 재배 용이한 품종. 관상용품종 중 우수종.
9월 중하순의 중만생종
미국종. 미국 California 대학 산. 1981년 Gold에 Q 25-6 교배종. 일명Davis 31-123F. 중국명 백계심무핵(白鷄心無核), 장립무핵(長粒无核).
과립 5.2g~6.9g 장타원형 밀착. 과방 820g~1,200g 원추형. 과색 녹황색. 과분 짙음. 과피 얇고. 육질 연함. 당도 16Bx. 산도 0.83%. 품질우수. 머스켓 향. 탈립 열과 없음. 저장 수송 강. 풍산. 부초 결실력 강함
수세는 강. 신초 도장 심. 내병성은 노균, 회색 곰팡이에 강하고. 흑두, 흰가루에는 약함. 생식, 가공 겸용의 우수한 무핵 품종.
발아에서 성숙까지 115일의 비교적 조숙종.
미국종. 미국 California 대학산. Cardinal(Flame Tokey × Ribier)과 품종 미상의 교배종. 무핵 품종. 중국명 황제무핵(黃提無核)
과립 6.5g ~7.2g 단타원형 밀착. 과방 800g~1,200g 원추형. 과색(果色) 녹황색. 과분 짙음. 과피 얇고. 육질 연)함. 당도 16Bx. 산도 약. 품질우수. 머스켓 향. 탈립 열과 없음. 저장 수송 강. 풍산. 상온에서 30~45일,저온 저장은 이듬해 4월까지 간다.
발아에서 성숙까지 120일의 중숙 품종.
구주종. 중국 북경식물원에서 Qeen of de vineyard × Thomson Seedless 교배육성. 1960년 선발. 종자 미숙 무핵종
과립 3.3g, 난형. 과방 320g, 최고 600g 원추형. 과 피는 녹황색. 당도는 20Bx. 육질 연함. 만개 후 10일에 GA 처리면 과립 비대 효과.
수세 중 내병성은 강. 낙화 후 GA100~200ppm 처리면 과립이 1.5~2배 비대한다. 생식, 레저, 통조림용으로 적합.
생장일수 100일의 극조숙종.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1년 Tanored ⨯ Himrod를 교배 육성하여 2016 년 품종 등록한 당도 높은 Seedless 청포도
과형은 원형이고 과피색은 녹황색이며 껍질 채 먹을 수 있는 무핵 품종이다. 평균 과방은 330g이고 평균 과립은 3.8g 내외이며 당도는 19.5Bx로 높고 산 함량은 0.54%로 식미가 우수하다. 풍산성으로 착립 착방이 우수하고 열과가 적으며 꽃떨이 현상이 거의 없어 재배가 유리하고 열과가 거의 없어 수확 기간이 길며 수상에서 품질이 오래 유지되어 수확 시기 분산이 가능한 품종이다.
착립 착방이 양호하여 과다 결실에 의한 숙기 지연이 우려됨으로 만개 30일 후에 신초 당 1.5송이의 적정 착과가 요망된다. 고품질 생산을 위해 비가림 또는 하우스 재배가 무난하리라 판단된다. 겨울철 동해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확 후도 7~10일 간격으로 관수하여야 한다. 내한성이 약하여 남부 평야지대나 시설재배에 적합하며 중부 이북에서는 피복 또는 매몰 등의 월동 조치가 필요하다.
숙기가 8월 28일로 캠벨얼리보다 1주일 늦은 품종이다.
미국종. 미국 Hoag씨와 Clark씨가 Concord × Cassady 교배육성. 1982년 상업적으로 판매 시작.
과립 4g 원형. 과방 280g. 과색 황록색. 당도 17Bx. 산도 0.3%. 강한 라브라스카향. 불열과. 과피 분리 쉽다. 멜론 모양의 망목이 보일 때가 품질 극상.
수세 강. 내병성 강. 내한성 강. 생력재배 가능.
8월 중순의 중숙종.
미국종. 미국 Newyork 농업시험장에서 Champion × Luty 교배육성. 1914년 선발.
과립 3~6g 단타원형. 과방 280g원통형. 과색 황백색. 당도 17Bx. 산도낮음. 감미와 독특한 향을 가진 품종. 과피 분리 쉽다. 탈립이 심하여 수송에 약함.
수세 강. 내병성 강. 내한성 강. 직판이나 관광농원에 적합.
8월 초순의 비교적 조숙종.
구미잡종. 일본 하라다씨가 Peariss(Ceneca×Bitero) × 비떼로비앙코 (Bitero Bianco) 교배육성. 1993년 선발.
과립 6~8g 궁형(弓形) 내지 선첨타원형(先尖楕圓形). 과방 500g~700g 장원추형. 과색 황록색. 당도 19~22Bx. 산도 0.6%. 육질은 단단함. 라브라스카(Labrasca) 향. 미숙과는 과피에 떫은맛이 조금 남는다.
수세 강. 내병성 강. 과립이 길어 수송성이 약함. 독특한 감미와 진귀한 외관으로 관광농원과 직판농원에서 인기 품종.
육성지에서 9월 중순의 중생종이다.
구미잡종. 원예연구소에서 Verdelet × Himrod 교배육성. 1993년 최종 선발. 종자의 흔적만 남는 무핵종.
과립 3~4g, 난형. 과방 350g, 원추형. 과피 녹황색. 당도는 17.5 Bx. 산미 0.7%, 육질 연함. 만개 후 10일에 GA 처리면 과립 비대 효과 있음.
수세 강. 내병성은 강. 내한성 중 정도로 중부지방 노지 월동 가능. 화이트 와인에 블랜딩 용으로 인기가 높다.
캠벨 보다 약간 늦다.
구미잡종. 일본 과수시험장 아끼즈 지장에서 Kyoho × Concord Seedless 교배육성. 1991년 등록한 3배체 품종으로 GA처리가 필수
과립 평균 2g의 원형. 과방 100~150g 소방 장원추형의 소방. 낙화 직후 100ppm의 GA처리로 4~5g의 과립과 250~350g의 과방으로 옥시향을 닮은 향이 있다. 황록색으로 과분은 적다. 당도는 18~20도로 높고 산도는 낮아 식미가 우수하다.
내한성 중. 수세는 힘로드처럼 강하고 수관이 확대된다. 등숙도 좋고 재배 용이함.
육성지에서 8월 하순. 거봉보다 조금 빠르다.
구미잡종. 일본 과수시험장 아끼즈지장이 홍서보 × 올림피아 교배육성. 1998년 선발 등록.
과립 10~12g 편원형. 과방 350~400g. 원통형. 과색 황록색. 당도21Bx. 과육은 거봉과 같이 조금 단단하다.
수세 강. 내병성 강하나 총채벌레에 주의해야 함. 재배용이. 적지폭은 넓다. 과숙하면 과피 갈변이 온다.
거봉과 동시기. 산도 낮고, 머스켓 향과 옥시향의 복합 향이 독특함.
구미잡종. 일본 요네야마농원에서 Balad × Neomuscat 교배육성. 2006년 선발.
과립 8g 타원형. 과방 300~400g원통형. 과색 황록색. 당도 20Bx. 육질은 단단함. 강한 머스켓 향. 식미 양호한 품종.
수세 약하나 강한 가지는 2송이 착과도 가능. GA 감수성도 좋아 개화 시작 때 15ppm, 개화 후 12일 50ppm 처리로 좋은 결과.
7월 말 8월 초의 극조생.
구미잡종. 일본 도쿄 과수시험장에서 백봉 자연 실생을 파종하여 선발한 품종.
과립 13g 편원형. 과방 400~500g 원통형. 과색 황백색. 당도 18Bx. 다즙. 반붕괴성. GA 처리 쉬워 만개시와 10일 후에 각각 25ppm으로 무핵 .
수세 강하지 않고 내병성은 조금 강하여 노지 비가림 재배가 가능함. 성숙 후 덕에 1개월 정도 달아 놓아도 되고 보관성도 좋다.
육성지에서 8월 하순의 조생종.
구미잡종. 일본 육종지정 후꾸오까 농업시험장에서 Pione × Centenire 교배육성. 1996년 선발.
과립 14g 장타원형. 과방 350~400g 원통형. 과색 황록색. 당도17Bx. 육질은 붕괴성, 향기없고, 산이 적어 거봉 같이 식미 양호
수세 중. 내병성 조금 약. 화진 조금 있어 지베렐린 처리가 필수적으로 대립 무핵화 가능. 볼륨감 있는 청포도다.
육성지에서 9월 상순의 중생종이다.
구미잡종. 일본 오까야마의 히로다씨가 Muscat of Alexandria × 갑주삼척 교배육성. 1932년 선발.
과립 평균 5g. 과방 400g. 과색 황록색. 당도 19Bx 좌우. 산도 0.4. 머스켓 향. 불열과. 탈립 없음.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대표적인 청포도로 풍산성이다
수세 강. 내병성 강. 노지재배 대중적 머스켓 품종.
9월 상순의 중생종. 대립계인 로자리오 비앙코에 잠식 당하고 있다.
구미잡종. 미국 Newyork 농업시험장에서 Ontario × Lignan Blanc 교배 육성. 1930년 선발.
과립 3~4g 타원형. 과방 250~400g 원추형. 과색 백황색. 당도 18Bx 높고 산도 0.4%. 달콤한 향. 열과 및 탈립이 없음. 풍산성. 고품질.
수세 강. 내병성 강. 내한성 강. 재배 용이한 품종
8월 상순의 조숙종.
구미잡종. 미국 Newyork 농업시험장에서 Muscat Hambrug ×Diamond 교배육성. 1927년 선발.
과립 5.5g 타원형. 과방 320g 원통형. 과색 황록색. 당도 19Bx. 산도 0.4% 육질은 단단함. 강한 머스켓 향. 식미 양호한 품종이나 열과에 극히 약함.
수세 강하고 내병성 강하며 내한성 강하나 캠벨 보다는 약함.
육성지에서 8월 중순의 조생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