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식용 흑색

Standard Post with Image

1. 키시미시 케르니 (Khishmish Chernyi)

내력
구주종. 아제르바이잔 품종. 일명 흑모누카(Black Monukka) 또는 러시안 무핵(Russian seedless) 또는 블랙무핵(Black seedless).
과실
과립 5g~6g 난원형. 과방 400g 원추형. 자흑색종. 대립 무핵 계통. 톰슨씨들리스보다 햇볕을 강하게 요구하지 않는 품종.
수성
수세 강. 내병성은 중.
숙기
터키 동부에서 8월초에 수확하는 조중생 종.

Standard Post with Image

2. 오틸리아 무핵 (Otilia Seedless)

내력
구주종. 루마니아 원산. Ribier × Perlette 교배종 중국명 오적아무핵 (奧迪亞無核 ; Aodiya Seedless)
과실
과립 4.5g~5g. 과방 350g~420g. 과색 자흑색 ~ 남흑색. 과분 짙은 회백색 과육. 단단하고 부드러움. 당도 16.5Bx. 산도 적당. 품질 우수. 저장 수송 강
수성
수세는 중 정도. 결실력 강. 노지 시설 모두 가능한 무핵 품종
숙기
발아에서 성숙까지 100일의 조숙 품종

Standard Post with Image

3. 뷰티 무핵 (Beauty Seedless)

내력
구주종. 미국 California Davis 대학에서 H.P Olmo씨가 1954년 품종등록. Scolokertek kiralynoje x Black Kishmish 교배육성
과실
과립 평균 4~5g의 원형. 과방 500ℊ타원형. 과색 청흑색 당도 18Bx. 과피 연하고, 육질 아삭. 품질 우수. GA 처리는 톰슨씨들리스에 준한다.
수성
수세는 강. 내병성 중 정도. 환상박피를 하면 과립 비대 및 착과 촉진 효과가 있음.
숙기
캘리포니아에서 7월말 - 8월초의 비교적 조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4. 환타지 무핵 (Fantasy Seedless)

내력
구주종. 미농무성 작물연구소 USDA-ARS의 David Ramming씨와 RonTarailo씨가 B36-27×C78-68 교배육종. 1994년 등록. 부모는 Blackrose, Red Malaga, Muscat of Alexandria와 Sultania의 품종과 혈연. 중국명은 흑기무핵(黑寄無核)
과실
과립 7g~8g, 타원형 적당히 밀착. 과방 500g, 원추형. 자흑색 무핵품종. 과분 중간 정도. 육질 엷은 녹색으로 단단함. 당도는 18Bx. 머스켓 향. 산도 적당하여 식미가 좋고, 과심이 깊어 열과 없고, 저장, 수송 강한 중립종이다.
수성
수세는 강. 중 단초 혼합 전정이 좋다. 내병성은 거봉 정도. 환상박피를 하면 과립 비대 및 착과 촉진 가능. 인산, 칼슘을 시비하여 가지 등숙을 시켜야 한다.
숙기
발아에서 성숙까지 110일의 조숙 품종.

Standard Post with Image

5. 오텀 로얄 (Autumn Royal)

내력
구주종. 미국 캘리포니아 USDA의 Raming씨가 Autumn Black × C 74-1 교배 육종한 품종.
과실
과립 자연 상태에서 8g의 난형, 원추형 대 과방, 자흑색종.무핵 품종 중에서는 가장 대립종, 검은 바탕에 진한 보라색을 칠한 것 같은 과색
수성
수세 강, 풍산성
숙기
9월 하순 ~ 10월 상순의 만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6. 윙크 (Wink)

내력
구주종. 일본 야마나시(山梨)의 시무라씨가 루벨머스켓(Rubel Muscat) × 가이찌(Kaigi) 교배육성. 1998년 등록. 중국명 위가(魏可).
과실
과립 10g~11g의 난원형 대립. 과방 500g의 원추형 대방. 과색 자흑색. 당도 20Bx. 산미 낮아 식미는 우수. 과피 과육 분리 어렵고 떫은 맛 없다.
수성
성질은 가이찌를 닮아 흑색 가이찌라 불림. 재배용이. 과경이 굵고 강해 탈립 없음.
숙기
9월 중 하순의 만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7. 머스켓함부르그 (Muscat Hamburg)

내력
구주종. 영국에서 Black Hamburg × Muscat of Alexandria를 교배한 강한 머스켓 향이 있는 유명한 품종. 중국명은 매괴향이라 하며 대단위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음.
과실
과립 4.7~5.3g의 타원형. 과방 292~428g 대방 장원추형의 대방. 육질은 연하고 다즙이며 당도는 19.3~20.8도의 강한 감미와 진한 머스켓 향이 있다. 자홍색 과분은 보통. 과피의 두께는 중정도. 단위 결과가 많은 것이 결점이다.
수성
수세는 중. 내병 내한성도 중. 와인 겸용종으로 재배는 쉽다.
숙기
육성지에서 9월 상순의 중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8. 머스켓 함부르그 실생(Muscat Hamburg實生)

내력
주종. 중국산. 매괴향(玫瑰香)의 실생을 파종하여 선발, 매괴향은 영국에서 Black Hamburg × Muscat of Alexandria 교배육성. 중국명 마스향이다.
과실
과립 6~7ℊ의 단타원형. 대과방의 장원추형. 진흑색종. 당도 18~19Bx. 감미 강한 머스켓 향. 과육 연하고 다즙. 화진 없으나 단위 결실성이 단점.
수성
수세 강하고 확장력 좋다. 화진도 적고 풍산성. 과방이 길쭉하고 과립이 느슨하게 달려 비교적 재배 용이한 품종.
숙기
9월 중순, 캠벨보다 조금 늦음

Standard Post with Image

9. 블랙 펄(Black Pearl)

내력
구주종. 구소련에서 Skujinsh 675s(Pearl of Csaba × Amurskiy) × Alpha(오래된 미네소타 품종)을 교배 육성한 품종.
과실
과립은 소립 밀착 되며 과방은 중방 원추형의 자흑색 포도. 당도는 높다.
수성
수세 강. 내병성은 다소 약함.
숙기
이탈리아 남부에서 8월에 수확하는 조금 조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10. 블랙 삼척 (Black Sanjaku)

내력
구주종. 일본 오까야마의 하나자와씨가 Beni Sanjaku×Gousal Kara 교배육성. 1989년 등록. 2배체.
과실
과립 8g ~10g 의 난원형 대립. 과방 정방하여 500g 원추형 심대방. 자흑색종.당도 19~20Bx. 산미적고 . 향은 없으며 맛은 좋다. 육질은 붕괴성으로 다즙. 과피는 두껍고 열과 없다. 과경도 단단하여 탈립 없다. 보관성이 아주 좋다.
수성
수세는 중이고 등숙 좋아 내병성이 강하여 재배용이. 흑색 가이찌라는 별명. 풍산, 대방의 결과 결실 과다에 주의..
숙기
10월 상순의 만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11. 남항포도 (南抗葡萄 Nankangputa)

내력
동아종. 중국 남방 설봉산구(南方雪峰山區) 원산. 고온 고습에 극강 하고 항병성이 뛰어나 선발. 1호, 3호가 있다.
과실
과립 5.5g~11g 원형. 착립 밀도 중. 과방 450g~1,300g. 과색 자흑색. 과분 짙음. 당도 17Bx. 품질 극상. 탈립 열과 없음. 저장 수송 강. 풍산. 양조 겸용 호평.
수성
수세는 강. 흑두, 탄저, 백분, 노균등 내병성 극강. 충해 강. 가시 있는 포도로 유명.
숙기
발아에서 성숙까지 150일의 만숙 품종

Standard Post with Image

12. 비너스 무핵 (Venus Seedless)

내력
미국종. 미국 원산. 1977년 Alden X N.Y 4600 교배종 중국명은 금성무핵(金星無核)
과실
과립 4.2g~4.5g 원형 밀착. 과방 260ℊ~500ℊ 원추형 과색 청흑색. 과분 짙음. 과피 두껍고. 육질 연함. 당도 17Bx. 산도 0.97. 품질 우수. 저장 수송 강. 탈립 조금.
수성
수세는 중. 내한성 강. 내병성 강한 무핵종
숙기
발아에서 성숙까지 110일의 조숙 품종

Standard Post with Image

13. 스튜벤 (Steuben)

내력
구미잡종. 미국 Newyork 농업시험장에서 Wayne × Sheridan 교배육성. 1946년 선발 명명. 일명 슈퍼머루.
과실
과립 3~5g 원형. 과방 350g 전후. 자흑색종. 당도는 20Bx. 산도 0.5%. 향 좋음. 식미는 극상이고 직판용으로 인기 품종이다.
숙기
캠밸 보다 조금 늦다.

Standard Post with Image

14. 콩코드 (Concord)

내력
미국종 . 미국 Bull씨가 Concord 지방에 자생 하는 포도에서 실생 선발한 품종. 유럽종 피가 조금 섞인 것으로 추정. 과립은 소립 밀착 되며 과방은 중방 원추형의 자흑색 포도. 당도는 높다.
과실
과립 4g, 과방은 300g, 당도 16BX, 산도 0.4%, 라브러스카(Labrusca) 향이 있고, 다즙 박피 용이한 품종이다.
수성
생육적지가 넓고 내한성이 극강하다. 노균병은 중 정도이고, 꼭지마름병에 약하다. 생식, 양조, 가공(쥬스) 겸용종이다.
숙기
캠벨과 동시기

Standard Post with Image

15. 나이아벨 (Niabell)

내력
미국종. 미국원산. 1958년 California대학 양조학과 J.P Olmo 교수가 Campbell(4×)× Niagara(4×) 교배육성
과실
과립, 과방은 콩코드와 비슷하고, 맛은 캠벨보다 진하고, 신맛이 거의 없으며 단맛이 더 강하다. 캠벨과 맛, 색, 먹는 방식이 같아 미국 한인 마켓에서 라고(LAGO)라는 상표로 “한국포도”로 팔리고 있다.
수성
콩코드 재배가 곤란한 미국 남부의 긴 여름날 건조 고온지에 적합한 품종으로 일반 가정의 정원에 심는 포도로 유명하다.
숙기
캠벨과 동시기

Standard Post with Image

16. 버팔로 (Buffalo)

내력
미주종. 뉴욕 농시에서 하바드 × 와드킹스 교배육성. 원명은 얼리스튜벤(Early Steuben)
과실
과립 3.5g~5g의 원형 소립. 과방 정방하여 400g 원통형 대방. 자흑색종. 당도 19~20Bx. 산미 적고 . 향은 없으며 맛은 좋다. 육질은 괴성으로 다즙. 과피는 두껍고 열과 적다. 탈립 중으로 수송이 조금 어렵다. GA 처리 시는 5~6g, 500g의 대립 대방으로 되며 청미를 가진 과분 많은 품종.
수성
수세는 중이고 풍산이며 내한성 강하고 내병성도 강하여 재배용이. GA 처리는 데라보다 2~3일 빠르게 개화 12~15일 전 화관 길이가 1.6~1.9 때가 무핵율이 가장 높고 안정적이다.
숙기
재배 용이한 극조숙 주요 유망 품종.

Standard Post with Image

17. 와세캠벨(Wase(早生) Campbell Early)

내력
미국종. 일본의 다케이(武井)씨가 캠벨얼리의 가지 변이를 발견 등록한 품종. 중국명은 판전승보 판전우선으로 통한다.
과실
과립 7~10g의 원형 대립. 과방 250~400g 원통형의 중대방. 육질은 괴상으로 자흑색 과분도 농후하고 과피가 두껍고 과육 분리가 쉽다. 당도 15~19도로 산도 적당. 과숙하면 육질이 물러져 적기 수확이 요망된다.
숙기
육성지에서 7월 말 극 조숙으로 캠벨보다 10여일 빠르다.

Standard Post with Image

18. 캠벨(Campbell Early)

내력
구미잡종. 일본 나가노 과수연구소에서 거봉에 로자리오 (Rosario)를 교배 배배양 한 3배체 품종. 2004년 등록. 2010년 12월 유전자 검사결과 화분친이 리자마트(Rixamat)로 밝혀짐.
과실
과립 10~13g 도란원형. 과방 420~460g 원통형. 엷은 자흑색종. 과육은 아삭 아삭하고, 당도 18~21Bx로 높고 식미우수. GA처리로 안정적인 무핵과 생산 가능. 과피가 얇아 껍질째 먹을 수 있다.열과 우려가 있어 대립, 대방 피할 것.
수성
수세는 강. 내병성은 조금 약해 보통 방제로는 부족함.
숙기
거봉과 동시기

Standard Post with Image

19. 나가노 퍼플 (Nagano Purple)

내력
구미잡종. 일본 나가노 과수연구소에서 거봉에 로자리오 (Rosario)를 교배배배양 한 3배체 품종. 2004년 등록. 2010년 12월 유전자 검사결과 화분친이 리자마트(Rixamat)로 밝혀짐.
과실
과립 10~13g 도란원형. 과방 420~460g 원통형. 엷은 자흑색종. 과육은 아삭 아삭하고, 당도 18~21Bx로 높고 식미우수.GA처리로 안정적인 무핵과 생산 가능. 과피가 얇아 껍질째 먹을 수 있다. 열과 우려가 있어 대립, 대방 피할 것.
수성
수세는 강. 내병성은 조금 약해 보통 방제로는 부족함.
숙기
거봉과 동시기

Standard Post with Image

20. 흑 바라드 (Black Balad))

내력
구미잡종. 일본 요네야마농원에서 요네야마 3号(Rizamat×Seneca)×Benibalad(Balad × 경수京秀) 교배육성. 2009년 등록.
과실
과립 7~10g 타원형. 과방 400g 전후. 자흑색종. 당도는 23Bx. 데라향(Delaware香)과 머스켓향(Muscat香)을 모두 가진 독특한 향. 육질도 좋은 맛있는 포도. GA 처리로 화수신장. 무핵재배 가능. 껍질째 먹을 수 있는 고급종. GA 1회 처리 시 스트랩트마이신 Streptmycine) 소량 희석하면 과피가 유연해 짐.
수성
수세 보통. 내병성은 조금 약해 비가림 재배가 요망 됨. 노지에서는 과립 밀착으로 인한 열과 주의.
숙기
육성지에서 7월 하순에 완숙되는 극조숙 품종.

Standard Post with Image

21. 자옥 (紫玉 Shigyoku)

내력
구미잡종. 일본 식원포도 연구소에서 고묵의 조숙 변이 종을 선발. 일명 조생고묵 이라 했다가 뒤에 자옥이라 명명.
과실
과립 11g 난형. 과방 350g 원추형. 당도 18.5Bx. 산도 0.4%. MTC묘에서는 당도가 22Bx 까지 나간다. 온난화 기후에도 착색이 잘되는 선착색 자흑색종. 과분 많고,육질 연하고 산도가 낮아 식미는 우수하다. 조생으로서는 아주 진한 맛의 품종이다.
수성
수세는 거봉보다 조금 약하나 새가지 기부가 굵다. 발아가 균일하여 꽃송이는 잘 맺히나 화진성이 아주 심하여 GA 필수종이다.
숙기
거봉보다 15일 빠른 극 조숙종이다. 그러나 대립 대방일 때는 숙기가 많이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Standard Post with Image

22. 북광 (北光 Hokkou)

내력
구미잡종. 일본 민간인이 가이찌 × 네오머스캣 교배육성. 1985년 등록.
과실
과립 8.5g, 난원형. 과방 400g, 원추형 자흑색종. 머스캣향. 당도 18Bx. 산도는 0.4%. 완숙시 감미 높고, 산미 낮아 식미 우수 품종.
수성
수세 중. 결실력 좋고 풍산성. 외관 미려.
숙기
수원 지방 9월 하순~ 10월 상순의 중만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23. 오리엔탈스타 (Orientalsta)

내력
구미잡종. 일본 과수시험장 아끼즈지장에서 1989년 스튜벤 × 알렉산드리아×루비오꾸야마 교배육성. 2004년 등록.
과실
과립 10~12g 장타원형의 대립 2배체. 과방 500~600g 장대형. 자흑색종. 육질 연하고 단단하여 구주종과 가깝고. 과피 두껍고 과분 많고, 과육 분리 쉽다. 당도는 20Bx, 향은 없고, 산은 적고, 떫은맛 없어 식미 우수하다. 과피 두껍고 열과 없고 탈립 없다. GA 처리 무핵화는 피오네(Pione)와 동일함.
수성
수세 보통. 내병성은 거봉 정도. 샤인머스켓과 같이 미국계 피가 들어가 재배가 쉬운 유망한 품종이다.
숙기
육성지에서 8월하순에 완숙, 조숙 품종. 국내에서는 9월하순으로 만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24. 거봉(巨峰 Kyoho)

내력
구미잡종. 일본의 오오이씨가 Campbell Early 4배체 변이종인 석원조생 × 썬테니얼 교배육성. 1955년 품종등록.
과실
과립 12g. 과방 400g. 당도 18Bx. 산도 0.4%. 자흑색종. 육질 연하고 과분 많음. 고품질 포도. 고온성 식물이나 과온시 착색불량. 저온시는 산미 강하다.
수성
수세 강. 내한성 약. 중부 이북 지방 매몰 필요. 화아착생 잘됨. 적정 송이 유지 필요. 산광에도 착색 잘됨.
숙기
중부지방 9월 하순. 개화 90일의 중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25. 이즈까 거봉 (Izuka Kyoho) 1호 (반총거봉 飯塚巨峰)

내력
구미잡종. 일본의 이즈까씨가 선발한 거봉의 우량 계통이다.1982년 일본 품평회에서 92%가 특품으로 유명.
과실
무병주에서 과립 14~15g. 과방 600g. 당도 19Bx. 산도 0.4%. 붉은 빛이 없는 착색 우수한 고품질 포도. 기타 특성은 거봉과 같다. 열과가 다소 적다고 함.
수성
거봉과 동일함.
숙기
거봉 보다 며칠 조숙.

Standard Post with Image

26. 이즈까 거봉(Izuka Kyoho) 2호 (반총거봉;飯塚巨峰)

내력
1호와 동일함
과실
1호보다 과립이 조금 작고, 과방도 조금 작다.
수성
1호와 동일하다. 육성자인 이즈까씨는 2호를 주로 육성 판매하고 있다고 함. 현재 우리나라에서 거봉 계통 중에서 자옥과 함께 가장 많이 판매 되고 있다.
숙기
1호보다 10일 이상 빠른 것이 특징이다

Standard Post with Image

27. 동부 거봉 (東部巨峰 Tobu Kyoho)

내력
구미잡종. 일본 나가노현 동부정 미요시에서 1979년 무병주 조직배양에 성공하여 1980년 식원포도시험장에서 처음 결실한 귀중한 품종.
과실
이 품종은 거봉의 개발자 오오이 선생으로부터 직접 모수를 분양 받아 자근묘로 재배한 실생묘에 가장 가까운 계통으로 착색,당도가 일반 거봉보다 우수한 대립 종.
수성
내병성 등 기타 특성은 거봉과 동일하나 내한은 비교적 강하다.후에 선발 계통들은 모두 이 동부 계에서 나왔다고 한다.
숙기
거봉보다 조금 조숙한다. 안정적 재배가 가능.

Standard Post with Image

28. 흑구슬 (Heukgoosul)

내력
구미잡종. 원예특작과학원에서 Golden Muscat × pione 교배육성. 2000년 최종 선발.
과실
과립 14g 난형. 과방 400g 원추형. 당도 20Bx. 산도 0.5%. 식미우수 품종.자흑색종 극대립으로 화진성이 거의 없고 착립밀도가 높아 거봉 단점 보완한 품종.과피가 얇고 소과립경이 짧아 열과 우려성이 조금 있음.
수성
수세는 강. 내병성 중. 내한성 강하여 수원지방 노지 월동 가능.중 단초 전정으로착과 가능. GA 처리 무핵화 가능.
숙기
발아, 만개, 성숙기가 거봉 2~3일 조숙하는 중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29. 수옥(Suok)

내력
구미잡종. 원예특작과학원에서 거봉 × 홍이두 교배육성.2004년 최종 선발.
과실
과립 11g 난형. 과방 410g 원추형. 당도 18.5Bx. 산도 0.63%. 청흑색종. 과분 많고, 육질 연하고, 과립이 정형화 되어 상품성이 높은 고착색종이다.
수성
수세는 강. 내병성, 내한성은 거봉보다 약함.
숙기
거봉 10일 늦은 중만숙 품종.

Standard Post with Image

30. 피오네(Pione)

내력
구미잡종. 일본 이가와씨가 거봉 × 캐논홀머스캣 교배육성.1969년 선발 Pioneer로 명명, 1975년 Pione로 개명.
과실
과립 14g 난형. 과방 400g 원추형. 당도 19Bx. 산도 0.6%. 진한 자흑색종. 과분 많고, 육질 쫀쫀하고, 과심이 길어 탈립 거의 없고, 수송 및 보관성이 뛰어남. 최고의 볼륨을 가진 점보 포도로 유명.
수성
수세는 극히 왕성하여 약전정이 좋다. 내병성은 구주종에 가까워 조금 약함. 단위결과성이 강해 GA 처리가 바람직.
숙기
거봉보다 조금 늦은 중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31. 고처 (高妻 Takasuma)

내력
구미잡종. 일본 야마꼬시씨가 피오네 × 썬테니얼 교배 육성. 1992년 품종 등록. 고귀한 아내라는 뜻.
과실
과립 17g~20g 단타원형. 과방 400~600g 원추형. 당도 19~21Bx. 산도0.5%. 진한 자흑색종. 과분 많고, 일본 남부 지방의 고온 착색 불량을 해결한 품종
수성
수세는 피오네와 동일. 웃자람이 없고 화진, 열과, 탈립이 거의 없는 노지재배 가능한 고급 품종. 무가온 하우스에서는 거봉과 동시기이나 조금 빠른 것이 특색
숙기
거봉보다 조금 늦은 중생종이다. 피오네와 동일.

Standard Post with Image

32. 선발 피오네 (Pione Selection)

내력
구미잡종. 일본 오이따현 와따나베농원에서 선발 육성된 피오네의 변이종.일명 점보 피오네라고함.
과실
과립 20g 난형. 과방 800~1,000g 원추형. 당도 19Bx. 산도 0.6%. 진한 자흑색종. 과분 많고, 일시에 착색 되고 식미도 좋다.
수성
수세는 피오네(Pione)와 동일. 피오네(Pione)와 같은 GA처리로 거대립,거대방의 품종.
숙기
피오네(Pione)와 동일.

Standard Post with Image

33. 블랙 올림피아 (Black Olympia)

내력
구미잡종. 일본 사와노보리씨가 올림피아 형제 품종으로 발표 했으나 색소 분석결과 거봉의 우수계통으로 보여 짐.
과실
과립 14g~18g 난형. 과방 500g 원추형. 당도 18~20Bx. 산도 적은 진한 자흑색종. 육질이 단단하고, 부드러워 씹는 맛이 좋다. 향기 좋고, 열과 없다.거봉계에서는 가장 고급종으로 통함.
수성
수세 강. 내병성 거봉 정도. 재배 용이
숙기
거봉보다 며칠 조숙.

Standard Post with Image

34. 후지미노리 (등임藤稔 Fujiminori)

내력
구미잡종. 일본 아오끼씨가 이가와 682 × 피오네(Pione) 교배육성.1985년 품종 등록.
과실
과립 18g~20g 단타원형 과방 600g 원추형. 당도 18Bx. 산도 0.2%. 자흑색종. 과육 연하고 과즙 많고, 탈립성이 조금 있어 수송성이 떨어짐. 지베렐린 처시는 30g의 거대립이 됨이 특징. 향은 없다.
수성
수세 강. 내병성 거봉 정도. 강 전정에도 착과 잘 됨.
숙기
거봉보다 며칠 빠른 조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35. 이두금(伊豆錦 Izunishiki)

내력
구미잡종. 일본 이가와씨가 거봉 × 캐논홀머스켓(Cannon Hall Muscat) × 캐논홀 머스켓(Cannon Hall Muscat)을 교배육성. 1980년 등록.
과실
과립 18g~20g 단타원형. 거대과방 원추형. 당도 17~18Bx. 자흑색종. 착색좋고,육질은 붕해성으로 거봉보다 탱탱하다. GA처리시 무핵과 평균32g. 최고 48g 기록도 있다. 캐논홀(Cannon Hall) 2번 교배로 온도 요구량 높다.
수성
수세 강. 내병성 거봉과 동일. 수관 확대 및 등숙이 좋다.
숙기
거봉과 피오네의 중간.

Standard Post with Image

36. 하니 블랙(Honey Black)

내력
구미잡종. 일본 과수시험장 아끼즈지장에서 1992년 거봉 × 알렉산드리아 교배육성. 후에 색소 분석 결과 거봉의 자가수분 실생으로 판명된 4배체 품종
과실
과립 11g 단타원형. 과방은 중 정도로 거봉보다 작으나 당도 20~23Bx. 산도 0.5%. 라브라스카 향. 자흑색종. 진하게 착색. 육질은 거봉과 같다.
수성
수세 강. 내한성은 약간 강. 꽃눈 착생이 좋아 1가지에 2송이도 결실 양호. 잎 7~8장 시 후라스타 500배액 살포로 화진 방지
숙기
거봉과 같으나 일본 동북부 지방은 1주일 조숙.

Standard Post with Image

37. 하촌 거봉(Shimomura Kyoho 下村巨峰)

내력
구미잡종. 일본 사이다마의 시모무라씨가 Beni Sanjaku × Gousal Kara 교배육성.1989년 등록.
과실
과립 11g~13g의 난원형 대립. 과방 500g 원추형 대방. 자흑색종.당도 17~19Bx.산미 적당 . 육질은 붕해성이며 과피 두꺼워 열과 없고 향은 라브라스카향이 강함. 탈립, 수송성은 거봉 정도. 품질은 거봉과 대옥 캠벨의 중간에서 거봉 쪽에 조금 치우친 느낌. 극 조생이나 맛이 없어 기피 품종이다.
수성
수세는 중이며 자옥보다는 강하고. 내한성 내병성이 강하여 재배용이. 적지의 폭이 거봉보다 넓어 가정용 취미 재배에 적합하다.
숙기
7월 하순이나 8월 초순의 자옥보다 빠른 극 조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38. 고묵(高墨 Takasumi)

내력
구미잡종. 일본 소리마찌씨가 선발한 거봉의 조숙우량계 품종이다.일명 조생거봉이라 함.
과실
과립 12g 난형. 과방 350g 원추형. 당도19Bx. 산도 0.5%. 진한 자흑색종.과분 많고, 떫은맛 없고, 감칠 맛이 난다. 과경이 가늘고 지경이 짧아 과방정리가 용이 하다.
수성
수세는 거봉보다 조금 약. 기타 특성은 거봉과 동일
숙기
거봉보다 10일 빠른 조생종이다.

Standard Post with Image

39. 엠비에이(MBA ; Muscat Bailey A)

내력
구미잡종. 일본 가와가미씨가 Bailey × Muscat Hamburg 교배육성.1927년 선발 명명. 시장에서 일명 머루포도로 불리고 있다.
과실
과립 5g 타원형. 과방 500g 전후. 자흑색종. 당도 19Bx. 산도 0.65%. 머스켓향.선착색 품종. 육질 좋은 진한 맛의 고급 포도. 양조 겸용종이다.
수성
수세 강. 과다 착과 시 착색 불량. 내병성 비교적 강.
숙기
9월 하순 ~ 10월 상순의 중만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40. 탐나라(Tamnara)

내력
구미잡종. 원예특작과학원에서 Campbell × Himrod 교배육성. 1998년 선발
과실
과립 7.5g 타원형. 과방 370g 전후. 자흑색종. 당도는 17.5Bx. 산도 0.4%.향 좋음. 식미가 극상인 중립 종. 과피가 얇아 열과에 주의.
수성
수세 강. 내병성 강. 내한성 강. 중부 이북 매몰 않고 월동 가능.
숙기
캠벨보다 4~5일 빠름.

Standard Post with Image

41. 진옥 (Jinok)

내력
구미잡종. 1983년 원예특작과학원에서 Delaware × Campbell Early 교배육성. 2004년 선발.
과실
과립 5g. 과방 350g. 당도 15.8Bx. 산도 0.49%. 자흑색종. 진한 라브라스카향. 과피 과육 분리 잘됨.
수성
수세 중. 내한성 강. 화아착생 잘됨. 적정 과방 유지 필요. 산광에도 착색 잘됨.탈립, 열과 없는 내재해성 품종. 거창,김포에서 상당한 인기 품종.
숙기
중부지방 8월 하순. 캠벨보다 3일 빠름

Standard Post with Image

42. 탄금추(歎今秋 Tankeumchu)

내력
구미잡종.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타노레드 × 슈퍼함부르그 교배육성.2007년 선발.
과실
과립 7g 단타원형. 과방 400g 원통형. 과색 진흑색종. 당도 18Bx. 호취향, 산도 0.53%. 캠벨에 비해 알이 1.8g, 송이가 30g 더 크고 당도가 1.8Bx 더 높아 캠벨보다 더 크고 당도 높은 고품질의 중립종 포도다.
수성
수세 강하고 확장력 좋다. 유럽종에 가까운 품종으로 세눈무늬병이나 노균병에 약하나 내병성은 비교적 강한 편이다. 내한성이 조금 약한 것이 흠이다.
숙기
캠벨보다 10일 정도 늦어 홍수 출하를 피할 수 있다.

Standard Post with Image

43. 새리단(Sheridan)

내력
구미잡종. 미국 Newyork 농업시험장에서 Herbert × Worden 교배육성.1921년 Newyork 4272호로 실생선발 명명
과실
과립 5g 원형. 과방 350g. 자흑색종. 당도는 19Bx 산도 0.5%. 과분 많은 고품질 포도. 육질이 질기고 종자와 과육 분리가 어렵다.
수성
수세 강. 내병성 강. 내한성 강. 저장 포도로 유명. 결실, 수송, 저장, 보관성이 뛰어나지만 요즘에는 착색 곤란으로 인기가 떨어지고 있다.
숙기
10월 상순의 만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44. 알덴(Alden)

내력
구미잡종. 미국 Newyork 농업시험장에서 Ontario × Grosse Guillaume 교배육성. 1952년 선발 명명.
과실
과립 5~6g 원형. 착립 밀도 중. 과방 400g. 자흑색종. 과분짙음. 당도 18Bx.산도 0.4%. 육질은 연하고 품질 우수. 머스켓 향, 탈립되기 쉽다.
수성
수세는 강. 곁눈 발생 많고, 수세가 강하면 맛이 싱겁게 됨.
숙기
캠벨 보다 며칠 늦다.

Standard Post with Image

45. 노스 블랙(North Black)

내력
구미잡종. 일본 원예연구소 아끼즈지장에서 Seneca × Campbell 교배육성.한랭지 조숙 우량계 선발 품종.
과실
과립 4g 타원형. 과방 300g 전후. 자흑색 종. 당도는 16~18Bx. 산도 낮음.과분 많은 고품질
수성
수세 강. 내병성 강. 내한성 강. 열과 없고, 착색 용이한 생력 품종이다.일본 동북지방과 북해도의 캠벨 대치 품종으로 개발 됨.
숙기
캠벨 보다 1주일 빠르다.

Standard Post with Image

46. 뉴욕 머스켓(Newyork Muscat)

내력
구미잡종. 미국 Newyork 농업시험장에서 Ontario × Muscat Hamburg 교배육성.
과실
과립 3~5g 원형. 과방 200~350g. 자흑색종. 당도는 23Bx. 산도 낮음. 과분 많은 고품질 포도.
수성
수세 강. 내병성 강. 내한성 강. 열과 없고, 착색 용이한 생력 품종이다. 일본 동북지방과 북해도에서 대 인기종.
숙기
8월 상순의 극조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47. 쉴러(Schuyler)

내력
구미잡종. 미국 New york 농업시험장에서 Zinfandel × Ontario 교배육성.1946년 13920 실생을 선발 명명.
과실
과립 4g 원형. 착립밀도 중 과방 230g 원통형. 자흑색종. 과분짙음. 당도17Bx. 산도 0.45%. 육질은 연하고 품질 우수한 맛 좋은 포도로 양조 겸용종이다
수성
수세는 강. 노균병에 약함. 만개 7~10일 전에 GA 50ppm + SM200ppm 처리하면 숙기 2주 빠른 무핵과 생산 가능.
숙기
캠벨 보다 1주일 빠른 조생종

Standard Post with Image

48. 블랙 비트(Black Beet)

내력
구미잡종. 일본 구마모또에서 고노씨가 Fujiminori × Pione 교배육성.2005년 선발. 4배체 포도.
과실
과립 14~18g 단타원형. 과방 500~600g 원통형. 선착색 극조숙 자흑색종. 과색(果色) 진흑색. 당도 16~17Bx, 향 없고, 산 적으며, 떫은맛 없어 식미 우수하여 어린이도 한 송이를 다 먹을 수 있는 시원한 맛을 가진 품종이다. 육질 연하고 시원하며 과피 두껍고 과분 많고 과육 분리 쉽다
수성
수세는 보통보다 조금 약한 편이고 내병, 내한성은 거봉 정도이며, 지베렐린 처리 무핵화는 피오네(Pione)와 동일. 일본에서 수년간 판매순위 1위의 품종이다.
숙기
거봉보다 1개월 빠른 극 조생종이다. 최대의 장점은 자옥보다 약 10일 정도 빠른 선착색 극조숙 품종으로 온난화에도 착색이 우수하며 하우스, 노지 모두 무난히 재배할 수 있다. 그러나 단점은 동해에 다소 약하다.

Standard Post with Image

49. 썸머 블랙(Summer Black)

내력
구미잡종. 일본 야마나시 과수시험장에서 거봉 × 톰슨씨들리스 교배육성 3배체. 1997년 등록. 중국명 하흑(夏黑)
과실
과립 3g . 만개시와 10일 후 지베렐린 50ppm 처리로 과립 7~8g. 송이는 선단 1cm 절단 6cm 남기고 과립 50~60알 밀착 시키면 과방 400~500g 원통형이 됨. 진흑색종. 당도 20Bx
수성
데라와 거봉 중간. 수요가 많은 단경기 출하가 매력
숙기
거봉보다 1개월 빠른 극 조생종이다. 최대의 장점은 자옥보다 약 10일 정도 빠른 선착색 극조숙 품종으로 온난화에도 착색이 우수하며 하우스, 노지 모두 무난히 재배할 수 있다. 그러나 단점은 동해에 다소 약하다.